3. 도로 교통

  북한의 도로는 철도의 보조 간선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로 단거리 노선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로의 수송분담율은 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여객의 약 37%, 화물의 약 7% 정도를 도로가 담당하고 있다.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지리전서’에는 북한 도로 총연장을 약 60,966km로 발표하고 있으나, 남한 기준을 적용시 실제 이용 가능한 도로는 이보다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의 도로는 고속도로와 1~6등급 도로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중 5급과 6급도로 이하 연장은 39,442km로 남한의 기준으로는 도로로 보기 힘든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표 3> 북한 도로 구분 기준(북한통계)

도로
등급

역할

차선(개)

차선
너비(m)

길섶
너비(m)

길바닥
너비(m)

1

중앙과 도 연결하는 국가 주요간선도로

2 이상

3.5

7.0 이상

1.5 이상

2

도와 도를 연결하는 도로

2

3.5

7.0

1.0

3

도와 군, 군과 군을 연결하는 도로

2

3.0

6.0

0.75

4

군과 리를 연결하는 도로

2

2.75

6.0

0.5

5

리와 리사이의 도로

2

2.5

5.0

 

6

리안의 마을과 마을사이의 도로

1

 

3.0~3.5

 

자료: 교육도서출판사, 『조선지리총서(운수지리)』(1988), pp. 262-263

 

<표 4> 북한 도로 등급별 현황(북한통계)

등급

노선수(개)

길이(km)

구성비(%)

포장길이(km) 3)

고속도로

6

661

1.1

661

1급도로

10

2,289.7

3.7

914.4

2급도로

29

4,299.6

7.0

283.3

3급도로

145

5,939.3

9.7

386.8

4급도로

638

8,334.2

13.6

203.3

5급도로

·

7,697.4

12.6

41.4

6급도로

·

31,744.5

52.3

46.9

합계

 

60,965.7

100

2,537.1

자료: 북한 교육도서출판사, ‘조선지리전서(경제지리)’, 1990, (1982년 기준)

   * 표의 연장은 북한 공식 간행 문헌 자료로 다른 표와 상이할 수 있음

   * 표의 고속도로 연장은 북한 교육도서출판사, “도로리정도”, 2006. 자료를 적용

 

  실제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파악하고 있는 도로 연장 및 자동차 등록현황은 아래 표와 같이 2만6천km 수준으로 남한의 10만여km에 비해 1/4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자동차 보유량은 남한의 1/70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5> 남북한 도로연장 및 자동차등록 현황

구분

고속도로

도로

자동차등록

남한

북한

남한

북한

남한

북한

단위

km

km

km

km

천대

천대

1985 

1,415 

240 

52,264 

21,735 

1,113 

220 

1990 

1,551 

354 

56,715 

23,000 

3,395 

264 

1995 

1,825 

644 

74,237 

23,339 

8,469 

272 

2000 

2,131 

724 

88,955 

23,633 

12,059 

262 

2005 

2,968 

724 

102,293 

25,495 

15,397 

250 

2010 

3,859 

727 

105,565 

25,950 

17,941 

257 

2011 

3,913 

727 

105,931 

26,110 

18,437 

262 

2012 

4,044 

727 

105,703 

26,114 

18,871 

266 

2013 

4,111 

727 

106,414 

26,114 

19,401 

272 

2014 

4,139 

729 

105,673 

26,164 

20,118 

276 

평균 증가율

3.77%

3.91%

2.46%

0.64%

10.49%

0.78%

자료: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제·북한통계(검색일 2016.8.10.)

 

<그림 3> 남북한 도로연장 추이

 

  북한도로의 문제점으로는 포장율이 10% 정도의 도로만이 포장된 상태로 고속도로와 1급 도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비포장도로로 운행속도도 시속 40㎞ 이하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속도로의 경우 포장이 되어 있더라도 유지보수가 제때 되지 않아 제 기능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산악지대가 많은 북한 지형의 특성상 터널과 교량은 다수 존재하나 대다수 노후화로 인해 안전상의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그림 4> 노후화된 북한 터널 및 교량 시설

 

3) 위 표에서 북한의 도로포장률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북한에서 도로통계를 작성시 자갈
    포장도로까지를 포장도로에 포함시킨 것으로 남한기준과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