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해운 교통

  해운의 경우 북한은 3,000㎞에 달하는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으나,남북한이 분단되어 동서해안이 분리된 한계로 인해 지역간 해운운송 발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북한의 주요 항만은 서해지역의 남포항, 송림항, 해주항, 동해지역의 청진항, 라진항, 선봉항, 흥남항, 원산항 등 약 8개의 무역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8개 항만은 총 부두연장 14.5㎞, 전체 하역능력 3,680만톤, 접안능력 30.6만GT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4) 2014년 현재 하역능력 및 보유 톤수에서 남한은 북한의 25배, 65배로 현격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표 6> 북한 주요 항만시설

항명

하역
능력
(만톤)

접안
능력
(만GT)

최대
수심(m)

부두
연장
(m)

주요장비

비 고

청진

800

1.5

12

2695

15톤급 크레인

1983년 중국의 대일중개무역

흥남

450

1.5

13

2061

10톤급 일반 및 갠트리 크레인

1960년 무역항으로 개항

라진

300

2

11

2448

5~15톤 크레인

1974년 무역항으로 개항

원산

360

1

7.9

3166

 

1976년 무역항으로 개항

남포

1070

3

13.5

1994

5톤급 크레인, 해상크레인

평양과 고속도로 전기철도로 연결

해주 

240

0.6

12

1305

10톤급 크레인

1974년 무역항으로 개항

송림

160

1

10

400

18톤급 크레인

1975년 무역항으로 개항, 송림제철소 전용부두

선봉

300

20

23

465

 

석유 도입항으로 개발

자료: 안병민․성원용(2006). 북한 교통 인프라 현대화를 위한 재원조달 방안 연구, 2006, p.28 수정보완

 

<표 7> 남북한 하역능력 및 보유톤수 현황

구분

하역능력

보유톤수

남한

북한

남한

북한

단위

천톤

천톤

G/T

G/T

1985 

118,413 

32,900 

763 

48 

1990 

224,323 

34,900 

953 

54 

1995 

285,200 

35,010 

1,164 

90 

2000 

430,437 

35,500 

1,438 

85 

2005 

650,281 

37,000 

1,918 

90 

2010 

915,430 

37,000 

3,129 

80 

2011 

943,900 

37,000 

3,586 

76 

2012 

1,017,190 

37,000 

4,013 

76 

2013 

1,024,977 

37,000 

4,371 /P>

73 

2014 

1,039,378 

41,560 

4,620 

71 

평균 증가율

7.78%

0.81%

6.41%

1.36%

자료: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제·북한통계(검색일 2016.8.10.)

 

  북한 해운의 문제점은 다른 교통수단과 마찬가지로 해운 항만시설 및 선박들이 매우 노후화 되어 정상적인 국제무역이 어려운 상태이다. 특히 국제사회의 오랜 기간 동안 대북제재로 인한 국제무역의 제약은 북한 해운 교통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4) 안병민․성원용(2006). 북한교통인프라 현대화를 위한 재원조달 방안 연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