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전체보기
1뎁스 2뎁스
닫기
민원안내

Q&A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이용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게시하는 공간입니다. 문의하시기 전에 FAQ(자주묻는질문)를 먼저 참고하여 주십시오.
작성하신 글에 개인 정보, 광고성 정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게시글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통계조사의 원자료(raw data)는 MDIS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산업분류, 직업분류, 질병·사인분류는 통계분류포털 > 커뮤니티 > 상담센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oecd average annual wages 한국 값 관련
답변완료
  • 작성자김*정
  • 작성일2024-05-22
  • 조회수96
바쁘신데도 답변을 챙겨주셔서 감사합니다. 5월 21일 답변을 통해 많은 부분 의문이 해소되었습니다. 다만 알려주신 대로 계산을 했을 때에도 값이 일치하지 않아 다시 문의드립니다. <답변에 따르면> OECD에서 산출하는 연간 평균 임금은 국민계정의 피용자보수(한국은행)를 경제활동인구수(통계청)로 나누어, 전체근로시간 대비 전일제 근로자 근로시간을 곱하는 방식으로 계산이 됩니다. 이는 OECD도 AW에 대해 그렇게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주지하고 있는 바입니다. 알려주신대로 국민계정을 이용해 계산을 해보면( 예컨대 2015년 기준 국민계정 등의 통계를 보면 ) 2015년 피용자보수 749,757.6 (단위 십억원) 전업환산 피용자수 17,139,419 (피용자수) 전업환산 취업자수 23,829,259 (취업자수) 말씀대로라면 위 값을 이용해 계산하면(나누기) AW값과 유사해야하는데 OECD 연간평균임금 한국 2015년 35,233,909(원)과 크게 차이가 있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한번 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확인한 자료는 <국민계정> 의 피용자보수통계, 전업환산 피용자수, 경활자료의 연간경활인구수, OECD의 AW자료, OECD의 전업환산 FTE자료입니다. 출처: 피용자 보수 통계 https://www.index.go.kr/unity/potal/eNara/sub/showStblGams3.do?stts_cd=F013701&idx_cd=F0137&freq=Y&period=N 전업환산 통계: https://eiec.kdi.re.kr/policy/callDownload.do?num=188863&filenum=2 OECD FTE: https://stats.oecd.org/index.aspx?queryid=54749# OECD AW: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AV_AN_WAGE
답변입니다. 통계청/2024-05-24
김*정님 안녕하십니까?
국가통계포털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국제통계를 담당하는 부서에 문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의주신 내용을 한국은행 등 통계 작성부서와 검토해보았습니다.      

그러나, OECD 설명자료를 통해서는 연간 평균 임금의 정확한 계산 방법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해당 통계는 OECD에서 국가별로 수집한 자료를 자체 가공하여 별도로 만들어낸 것으로, 
해당 통계의 구체적인 작성방법(사용 데이터, 계산공식)은 OECD 이외 기관에서는 알지 못합니다. 
현재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OECD에서 작성한 수치가 어떻게 산출되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정확한 산출 방식은 OECD 통계 담당부서 메일(ELS.Contact@OECD.org)로 문의하여 확인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저장됩니다.
닫기
코봇 아이콘 코봇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