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통계청, UN
51,685 천명2025년
총인구(장래인구)
(단위: 천명) 지표 바로가기일정시점에 일정한 지역 내에 살고 있는 모든 인구(내·외국인)를 의미하며, 장래인구는 각 연도 7월 1일 시점의 중위 추계 인구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총인구(장래인구) | 1,000 |
출처: 통계청, UN
-0.13 %2025년
인구증가율
(단위: %) 지표 바로가기연도 간의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모두 감안한 인구증가(감소)율
수치는 전년도 대비 증감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인구증가율 | 1,000 |
출처: 통계청, 국토교통부, UN
514.8 명/㎢2023년
인구밀도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일정 지역내의 인구를 해당 지역의 면적으로 나눈 수치로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의 과밀한 정도를 나타냄 (통상 ㎢당 인구로 표시)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인구밀도 | 1,000 |
출처: 통계청, UN
10.2 %2025년
유소년인구 비중
(단위: %) 지표 바로가기전체 인구 대비 14세 이하 인구의 비중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유소년인구 비중 | 1,000 |
출처: 통계청, UN
69.5 %2025년
생산연령인구 비중
(단위: %) 지표 바로가기전체 인구 대비 15~64세 인구의 비중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생산연령인구 비중 | 1,000 |
출처: 통계청, UN
20.3 %2025년
고령인구 비중
(단위: %) 지표 바로가기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고령인구 비중 | 1,000 |
출처: UN
0.75 명2025년
합계출산율(TFR)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총출생아수를 나타내는 지표 (TFR; Total Fertility Rate)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합계출산율(TFR) | 1,000 |
출처: 통계청, UN
230,028 명2023년
출생아수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출생아수 | 1,000 |
출처: 통계청, UN
14.6 %2025년
유소년부양비
(단위: %) 지표 바로가기생산연령인구(15~64세)에 대한 유소년인구(14세 이하)의 백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유소년부양비 | 1,000 |
출처: 통계청, UN
29.3 %2025년
노년부양비
(단위: %) 지표 바로가기생산연령인구(15~64세)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백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노년부양비 | 1,000 |
출처: 통계청, UN
43.9 %2025년
총부양비
(단위: %) 지표 바로가기생산연령인구(15~64세)에 대한 유소년인구(14세 이하)와 고령인구(65세 이상)의 합의 백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총부양비 | 1,000 |
출처: 통계청, UN
199.9 %2025년
노령화지수
(단위: %) 지표 바로가기유소년인구(14세 이하)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백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노령화지수 | 1,000 |
출처: 통계청, UN
3.8 천명당 혼인건수2023년
조혼인율
(단위: 천명당 혼인건수) 지표 바로가기특정 1년간 신고된 총 혼인 건수를 해당 연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1,000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조혼인율 | 1,000 |
출처: 통계청, UN
1.8 천명당 이혼건수2023년
조이혼율
(단위: 천명당 이혼건수) 지표 바로가기특정 1년간 신고된 총 이혼 건수를 해당 연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1,000분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조이혼율 | 1,000 |
출처: UN
1.3 천명당 이주자2025년
순이동률
(단위: 천명당 이주자) 지표 바로가기특정 기간동안 전입자수에서 전출자수를 뺀 수치를 해당기간의 총인구로 나눈 것(1,000분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순이동률 | 1,000 |
출처: 한국은행, WORLD BANK
1,839.4 십억US$2023년
국내총생산(GDP)
(단위: 십억US$) 지표 바로가기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기준년가격 기준)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국내총생산(GDP) | 1,000 |
출처: 한국은행, WORLD BANK
35,570 달러2023년
1인당 국내총생산
(단위: 달러) 지표 바로가기기준년가격 GDP를 인구로 나눈 것으로 국제비교를 위하여 US$로 표시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인당 국내총생산 | 1,000 |
출처: 한국은행, WORLD BANK
1.4 %2023년
경제성장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일정기간 동안 경제규모의 실질적인 증가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준년가격 GDP의 전년비 증가율로 나타냄 (실질 GDP 증감률)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경제성장률 | 1,000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FAO
100.5 2015(2014~2016)=1002022년
농업생산지수
(단위: 2015(2014~2016)=100) 지표 바로가기농업 생산에 대한 FAO 지수는 2014~2016년 수치를 기준으로 한 총 농업생산량의 상대적인 수치로, 종자 및 사료로 이용되는 양을 제외한 가처분생산량을 의미함(단, 대한민국은 2020=100)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농업생산지수 | 1,000 |
출처: OECD
113.6 2015=1002023년
광업·제조업 생산지수
(단위: 2015=100) 지표 바로가기생산 활동 추이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주로 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증기업에 대하여 작성되지만 총 지수의 포괄범위가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음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광업·제조업 생산지수 | 1,000 |
출처: OECD
117.3 2015=1002023년
소매판매액지수
(단위: 2015=100) 지표 바로가기소매판매의 판매액 변화를 측정하는 지수로서, 판매액은 특정 기준기간 측정 단위에 기반해 기업이 청구한 총액으로, 제 3자에게 공급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총 판매액에 해당.
국가마다 작성방법이 상이하며, '대한민국' 자료는 불변지수 자료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소매판매액지수 | 1,000 |
출처: IMF
129.2 2010=1002023년
소비자물가지수
(단위: 2010=100) 지표 바로가기가구에서 일상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수.
(단위: 2010=100)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소비자물가지수 | 1,000 |
출처: OECD
100 한국=1002023년
비교물가수준
(단위: 한국=100) 지표 바로가기국가간 물가수준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US$를 기준통화로 정하여 "각국 환율에 대한 PPP율×100" 으로 계산한 수치.
PPP율이란 미국에서 1US$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ㆍ서비스량과 동일량을 해당국에서 구입하기 위해 소요되는 자국화폐액.
지수상으로 대한민국을 100으로 표시할 때 일본이 128이라면 일본은 대한민국보다 28%정도 물가가 비싼 것을 의미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비교물가수준 | 1,000 |
출처: WORLD BANK
1,693.1 십억US$2023년
국민총소득(GNI)
(단위: 십억US$) 지표 바로가기모든 제도부문의 총본원소득 합계액으로,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가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기준년가격, 명목 기준)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국민총소득(GNI) | 1,000 |
출처: WORLD BANK
32,740 달러2023년
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지표 바로가기미국 달러로 변환한 국민총소득을 연중 인구로 나누어 산출(기준년가격)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인당 국민총소득 | 1,000 |
출처: ILO
3,394 달러(E.G./m.)2022년
월평균임금(제조업)
(단위: 달러(E.G./m.)) 지표 바로가기모든 종업원의 월평균임금을 가능한 한 명목임금으로 제시. 종업원의 임금은 정기적으로 종업원에게 지불한 것으로, 근로시간 혹은 성과에 대한 현금 및 현물 지급 총액. 연휴 등의 비근로시간이나 유급휴가 등에 대한 보수액도 포함. 반면. 고용주가 부담한 종업원의 사회보장 및 연금관련 기여금, 사회보장 관련 제도에 의거하여 종업원이 수령한 급여, 퇴직금 및 해고급여는 제외. 임금통계는 종업원의 총보수액으로, 고용주에 의한 공제 이전의 총액을 의미함.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월평균임금(제조업) | 1,000 |
출처: OECD
0.324 2022년
지니계수
(단위: ) 지표 바로가기지니계수는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소득 불평등 측정지표로서, 0에 가까울수록 는 더 평등한 소득분배를, 1에 가까울수록 더 불평등한 소득분배를 의미.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지니계수 | 1,000 |
출처: OECD
14.900 전체인구 중 비율2022년
상대적빈곤율
(단위: 전체인구 중 비율) 지표 바로가기세금을 내고 소득이전을 받은 뒤, 국민 상위 50% 소득(중앙값)의 절반이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개념, 측정방법, 통계출처 측면에서 국가별 관행이 광범위하게 다르기 때문에 직접 비교에는 주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상대적빈곤율 | 1,000 |
출처: OECD
1,120,359 백만 달러2022년
가계지출
(단위: 백만 달러) 지표 바로가기가계지출은 식품, 의류, 주거(임대료), 에너지, 교통, 내구재(특히 자동차), 의료비, 여가 및 기타 서비스 등 일상의 필요 충족을 위한 가구의 최종 소비지출 금액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가계지출 | 1,000 |
출처: UNDP
0.929 2022년
인간개발지수
(단위: ) 지표 바로가기경제 성장뿐 아니라 국가의 발전을 평가하는 궁극적인 기준이 사람과 능력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서, 인간개발의 주요 차원 (건강한 장수, 지식 수준, 양질의 생활 수준)의 평균 성취도를 요약한 측정값.
"0~1"의 값을 가지며 수치가 높을수록 인간개발 성취도가 높음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인간개발지수 | 1,000 |
출처: UNDP
12.6 년2022년
평균교육기간
(단위: 년) 지표 바로가기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평균교육기간 | 1,000 |
출처: OECD
16.3 명2020년
교사 1인당 학생(초등교육)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초등교육 수준의 교육기관에 재적 중인 학생 총 수를 전임교원의 총 수로 나누어 산출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교사 1인당 학생(초등교육) | 1,000 |
출처: 통계청, ILO
29,203 천명2023년
경제활동인구
(단위: 천명) 지표 바로가기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노동을 제공한 사람과 제공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으로, 취업자와 실업자의 합계.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경제활동인구 | 1,000 |
출처: 통계청, ILO
64.3 %2023년
경제활동참가율
(단위: %) 지표 바로가기1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실업자)의 비율.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경제활동참가율 | 1,000 |
출처: OECD
69.2 %2023년
고용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고용률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취업하고 있는지를 가장 간명하게 나타내는 지표로서 15~64세 생산가능인구 중 특정 시점에 취업해 있는 인구의 비율.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고용률 | 1,000 |
출처: 통계청, ILO
28,416 천명2023년
취업자
(단위: 천명) 지표 바로가기취업자는 1) 조사대상 기간 중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2)무급가족 종사자는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사람, 3)직업 또는 사업체는 가졌으나 조사대상 기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 휴직자를 포함함.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취업자 | 1,000 |
출처: 통계청, ILO
2.7 %2023년
실업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실업률 | 1,000 |
출처: ILO
6.0 %2025년
청년(15~24세) 실업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청년층(15~24세)의 실업자가 청년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ILO추정치(ILO Modelled estimates) 자료임.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청년(15~24세) 실업률 | 1,000 |
출처: OECD
16.1 %2023년
파트타임 근로자 비중
(단위: %) 지표 바로가기통상 주업에서 주당 30시간 미만을 근무한 사람의 전체 근로자 대비 비중. 각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작성기준이 상이하므로 국제비교시 유의를 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파트타임 근로자 비중 | 1,000 |
출처: OECD
281,803 명2022년
교통사고 부상자수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교통사고 직후 또는 30일 이내 부상자 수, 차량을 이용한 자살 제외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교통사고 부상자수 | 1,000 |
출처: OECD
2,551.0 백만명당 명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수
(단위: 백만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교통사고 직후 또는 30일 이내 사망자 수, 차량을 이용한 자살 제외.
수치는 거주자 100만명당 사망자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교통사고 사망자수 | 1,000 |
출처: UNODC
0.53 십만명당 명2022년
의도적 살인 희생자수
(단위: 십만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의도적 살인 희생자수 | 1,000 |
출처: UNODC
275 건2022년
의도적 살인 건수
(단위: 건) 지표 바로가기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의도적 살인 건수 | 1,000 |
출처: UNODC
52,940 명2022년
수감자수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수감자수는 뇌물수수, 마약소지, 마약밀매, 살인, 강간범죄 등 수감된 경우를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수감자수 | 1,000 |
출처: OECD
24.3 십만명당 명2021년
자살률
(단위: 십만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충분히 인지하거나 예상한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스스로 삶을 중단시키는 행위를 의미.
국가 간 데이터의 비교 가능성은 여러가지 보고 기준의 영향을 받음. 따라서 국가별 편차를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자살률 | 1,000 |
출처: IMD
20 순위2024년
국가경쟁력순위
(단위: 순위) 지표 바로가기국가경쟁력순위는 경제 분야 문헌들과 국제, 국가, 지역별 자료원 및 기업사회, 정부 부처, 학계로부터의 피드백 등을 활용한 포괄적 연구를 통해 선별된 경쟁력 기준들을 활용하여 선정하며, 경쟁력 기준은 새로운 이론, 연구, 데이터 제공 및 세계 경제 변화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정되고 갱신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국가경쟁력순위 | 1,000 |
출처: OECD
16.3 %2023년
관리직 여성 비율
(단위: %) 지표 바로가기관리 직급에 있는 근로자 중 여성의 비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관리직 여성 비율 | 1,000 |
출처: UNDP
0.062 2022년
성불평등지수
(단위: ) 지표 바로가기성불평등지수는 생식보건, 자율권, 노동시장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해 남녀 간 성취 불평등으로 인한 잠재적 인적개발 손실을 보여줌. 남성과 여성의 성취가 동등함을 나타내는 0에서부터 모든 차원에서 특정 성별의 성취가 다른 성별의 최하 수준임을 나타내는 1까지로 나타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성불평등지수 | 1,000 |
출처: OECD
5.8 점2021년
삶의 만족도
(단위: 점) 지표 바로가기0에서 10까지를 척도로 사람들의 현재 삶의 만족도 비율을 기반으로 한 평균값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삶의 만족도 | 1,000 |
출처: ITU
97.4 %2023년
인터넷 이용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최근 3개월 동안 어디에서든 인터넷을 이용한 인구 비율을 의미. 국가에 따라 인터넷 이용자 정의가 다르니 이용 시 유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인터넷 이용률 | 1,000 |
출처: ITU
162.1 인구 백명당 명2023년
이동전화 가입자수
(단위: 인구 백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공중전화망(PSTN)에 접속하도록 하는 이동전화서비스 가입자. 수치는 인구 100명당 가입자 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이동전화 가입자수 | 1,000 |
출처: UNWTO
12,000 백만 달러2022년
해외 관광수입
(단위: 백만 달러) 지표 바로가기관광 수입(지출)은 유학연수수입(지출)이 포함된 여행 수입(지출)이므로 통계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하며, 국제여객운임을 포함되지 않음. 또한 현지 화폐를 달러로 변환하면서 발생하는 환율효과가 포함됨을 유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해외 관광수입 | 1,000 |
출처: UNWTO
2,500 천명2020년
외래관광객
(단위: 천명) 지표 바로가기외래관광객 = 체류자격별 외국인 입국자 총계 - (외교+방문동거+거주+군인+영주) + 재외국민입국자수(교포) + 선원·승무원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외래관광객 | 1,000 |
출처: UNWTO
4,300 천명2020년
해외관광객
(단위: 천명) 지표 바로가기해외관광객 = 국민출국자-(재외국민)+선원·승무원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해외관광객 | 1,000 |
출처: OECD
14.8 시간2021년
1일당 여가시간
(단위: 시간) 지표 바로가기정규직 근로자가 여가 및 개인 유지 활동에 사용하는 시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일당 여가시간 | 1,000 |
출처: UN
59,029,400 자국통화2021년
오락문화비 지출
(단위: 자국통화) 지표 바로가기가계의 오락 문화비 지출 합계이며, 시청각 교재와 사진, 컴퓨터 장비의 구입 및 CD, DVD, 악기 장비, 캠핑카, 스포츠 장비, 장난감, 애완동물, 원예 도구와 식물, 신문, 스포츠 경기와 연극영화 티켓, 도박(복권 포함)을 포함.
각 국의 자국통화로 표시되므로 이용 시 유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오락문화비 지출 | 1,000 |
출처: UN
84.5 세2025년
기대수명
(단위: 세) 지표 바로가기특정 연도의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 즉 0세에서의 기대여명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기대수명 | 1,000 |
출처: UN
1.9 천명당 명2025년
영아사망률
(단위: 천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에 사망한 영아 수를 해당 연도의 1년 동안의 총 출생아 수로 나눈 비율로서 보통 1,000분비로 나타냄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영아사망률 | 1,000 |
출처: OECD
8.8 명/출산10만명2021년
임산부 사망률
(단위: 명/출산10만명) 지표 바로가기출산 10만명당 임산부의 사망자 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임산부 사망률 | 1,000 |
출처: WHO
85.8 십만명당 명2019년
암으로 인한 사망률
(단위: 십만명당 명) 지표 바로가기악성신생물(암)에 의한 연간 사망자수를 해당년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00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암에 의한 사망이 얼마나 발생했는가를 표시
대한민국 자료는 2015년까지는 WHO, 2016년부터는 사망원인통계(통계청)를 수록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암으로 인한 사망률 | 1,000 |
출처: OECD
7.0 %2021년
비만인구비율
(단위: %) 지표 바로가기비만도는 신체질량지수 BMI(Body Mass Index, [몸무게]㎏/[키의 제곱]m)지수가 25~30(25≤BMI<30㎏/㎡)이면 과체중(overweight), 30 이상(BMI≥30㎏/㎡)이면 비만(obese)으로 규정
단, 국가마다 체질량지수 측정은 직접계측(measured)과 자가보고(self-reported) 방식으로 작성한 자료로 기준이 상이함. 이러한 자료수집 방법의 차이는 국가별 비교에 큰 제약요인이 될 수 있음.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비만인구비율 | 1,000 |
출처: OECD
1,587 g2022년
1인당 담배 소비량
(단위: g) 지표 바로가기15세 이상 인구의 연간 담배 소비량을 g(그램)으로 환산한 수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인당 담배 소비량 | 1,000 |
출처: OECD
8.0 ℓ2022년
1인당 주류 소비량
(단위: ℓ) 지표 바로가기15세 이상 인구의 연간 순수 알코올 소비량을 ℓ(리터)로 환산한 수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인당 주류 소비량 | 1,000 |
출처: OECD
675,173 명2022년
의료종사자수
(단위: 명) 지표 바로가기의료종사자는 의사, 약사, 치과의사, 간호사의 합계이며, 의사·약사·치과의사는 의료활동 중인 자를, 간호사는 의료활동 중인 자와 면허자(자격등록자)를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의료종사자수 | 1,000 |
출처: WORLD BANK
12.4 천명당 수2018년
의료기관 병상수
(단위: 천명당 수) 지표 바로가기병상은 공립, 사립, 일반 및 전문 병원, 재활센터에서 이용 가능한 입원 환자 병상을 포함하며, 대부분의 경우 급성 및 만성 치료 환자를 위한 병상을 포함.
수치는 인구 천명당 병상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의료기관 병상수 | 1,000 |
출처: WORLD BANK
9.7 GDP 대비%2022년
보건관련 지출비
(단위: GDP 대비%) 지표 바로가기GDP의 백분율로 표시하며, 경상보건비는 매년 소비되는 의료 상품과 서비스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보건관련 지출비 | 1,000 |
출처: OECD
32.0 %2022년
국민부담률
(단위: %) 지표 바로가기국민이 낸 세금과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 기금을 합한 금액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국민부담률 | 1,000 |
출처: OECD
14.8 GDP 대비 %2022년
공공사회복지 지출
(단위: GDP 대비 %) 지표 바로가기공공사회복지 지출은 가구나 개인이 복지에 불리한 환경에 처해있는 동안 공적제도에 의한 사회적 급여나 재정적 지원을 의미하며, GDP 대비 백분비로 표시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공공사회복지 지출 | 1,000 |
출처: 한국은행, IMF
35,488 백만 달러2023년
경상수지
(단위: 백만 달러) 지표 바로가기외국과 물건(재화)이나 서비스(용역) 등을 팔고 산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외국과 실행한 거래결과 벌어들인 수입에서 지출을 차감한 금액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경상수지 | 1,000 |
출처: 관세청, IMF
632,226 백만 달러2023년
수출액
(단위: 백만 달러) 지표 바로가기통관 기준 수출액. 통상 F.O.B.(Free on Board). 즉, 본선 인도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데, 이는 무역상품을 선적하여 매수자에게 인도할 때의 가격이므로 선적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운임, 보험료 등이 제외된 가격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수출액 | 1,000 |
출처: 관세청, 한국은행, IMF, WORLD BANK
34.37 %2023년
수출 무역의존도
(단위: %) 지표 바로가기한 나라의 국민경제가 어느 정도 무역에 의존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지표로서, 수출액을 GDP로 나누어 계산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수출 무역의존도 | 1,000 |
출처: 관세청, IMF
642,572 백만 달러2023년
수입액
(단위: 백만 달러) 지표 바로가기통관 기준 수입액. 통상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즉 상품이 수입국에 도착하는 시점에서의 가격 개념을 적용하는데, 이는 운임과 보험료를 포함한 매매계약가격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수입액 | 1,000 |
출처: 관세청, 한국은행, IMF, WORLD BANK
34.93 %2023년
수입 무역의존도
(단위: %) 지표 바로가기한 나라의 국민경제가 어느 정도 무역에 의존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지표로서, 수입액을 GDP로 나누어 계산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수입 무역의존도 | 1,000 |
출처: 한국은행, IMF
1,305.93 대미달러, 기간평균2023년
환율
(단위: 대미달러, 기간평균) 지표 바로가기국제간에 결제되는 대차상의 외환어음의 가격인 자국화폐와 외국화폐의 교환비율. 미화 1달러 당 자국화폐의 연평균 환율을 수록.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환율 | 1,000 |
출처: IMF
5.19 연리%, 기간평균2023년
대출금리
(단위: 연리%, 기간평균) 지표 바로가기민간 부문의 중단기적인 자금조달을 위한 은행 금리. 국가별 금리는 기준이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용 시 유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대출금리 | 1,000 |
출처: IMF
3.84 연리%, 기간평균2023년
예금금리
(단위: 연리%, 기간평균) 지표 바로가기요구불 예금, 정기 예금 또는 저축 예금에 대해 주로 해당 국가의 내국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리. 국가별 금리는 기준이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용 시 유의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예금금리 | 1,000 |
출처: 한국은행, IMF
420,148 백만 달러, 기말2023년
외환보유액
(단위: 백만 달러, 기말) 지표 바로가기대외지급준비금을 의미하며, 통화당국(정부 및 중앙은행)과 외국환은행이 보유하는 외화자산의 총액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외환보유액 | 1,000 |
출처: 국토교통부, FAO
10,044 천ha2022년
국토면적
(단위: 천ha) 지표 바로가기국토 내의 수면 또는 연안해역(일부 해당국가)을 포함한 국토의 총면적 (1,000ha = 10㎢)
특정 연도부터 연안해역 자료가 포함될 수 있음 (예. 캐나다는 2021년부터 연안해역 자료가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국토면적 | 1,000 |
출처: FAO
1,528 천ha2022년
농경지
(단위: 천ha) 지표 바로가기육지면적 중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로 사용되는 면적 (1,000ha=10㎢)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농경지 | 1,000 |
출처: WORLD BANK
63 천km²2021년
산림면적
(단위: 천km²) 지표 바로가기산림면적(Forest area)은 생산성 여부에 관계없이 최소 5m 높이의 천연림 또는 인공림이 있는 토지이며, 농업생산시스템(예: 과일 농장 및 혼농임업 시스템), 도시 공원, 정원의 수목은 제외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산림면적 | 1,000 |
출처: OECD
44.8 천톤2021년
초미세먼지 배출량
(단위: 천톤) 지표 바로가기초미세먼지는 PM2.5 미세먼지로서, 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를 의미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초미세먼지 배출량 | 1,000 |
출처: OECD
676,647.9 천톤 CO2 eq.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천톤 CO2 eq.) 지표 바로가기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화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삼불화질소(NF3)의 총 배출량. CO2 간접 배출 및 토지 이용, 토지 이용 변화 및 임업(LULUCF) 분야는 제외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온실가스 배출량 | 1,000 |
출처: OECD
22,695 천톤2021년
도시폐기물
(단위: 천톤) 지표 바로가기주거, 상업, 공공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생활폐기물 및 유사 폐기물을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도시폐기물 | 1,000 |
출처: OECD
6,173.2 천 TOE (석유환산톤)2021년
재생에너지
(단위: 천 TOE (석유환산톤)) 지표 바로가기재생 에너지는 수력(양수 저장 수력 제외), 지열, 태양열, 풍력, 조력, 파력 등 1차 에너지에 해당하는 에너지 및 고체 바이오 연료, 바이오 가솔린, 바이오 디젤, 기타 액체 바이오 연료, 바이오 가스, 도시 폐기물의 재생 가능한 부분에서 추출하는 에너지를 포함
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재생에너지 | 1,000 |
51,685천명 2025년
-0.13% 2025년
514.8명/㎢ 2023년
10.2% 2025년
69.5% 2025년
20.3% 2025년
0.75명 2025년
230,028명 2023년
14.6% 2025년
29.3% 2025년
43.9% 2025년
199.9% 2025년
3.8천명당 혼인건수 2023년
1.8천명당 이혼건수 2023년
1.3천명당 이주자 2025년
1,839.4십억US$ 2023년
35,570달러 2023년
1.4% 2023년
100.52015(2014~2016)=100 2022년
113.62015=100 2023년
117.32015=100 2023년
129.22010=100 2023년
100한국=100 2023년
1,693.1십억US$ 2023년
32,740달러 2023년
3,394달러(E.G./m.) 2022년
0.324 2022년
14.900전체인구 중 비율 2022년
1,120,359백만 달러 2022년
0.929 2022년
12.6년 2022년
16.3명 2020년
29,203천명 2023년
64.3% 2023년
69.2% 2023년
28,416천명 2023년
2.7% 2023년
6.0% 2025년
16.1% 2023년
281,803명 2022년
2,551.0백만명당 명 2023년
0.53십만명당 명 2022년
275건 2022년
52,940명 2022년
24.3십만명당 명 2021년
20순위 2024년
16.3% 2023년
0.062 2022년
5.8점 2021년
97.4% 2023년
162.1인구 백명당 명 2023년
12,000백만 달러 2022년
2,500천명 2020년
4,300천명 2020년
14.8시간 2021년
59,029,400자국통화 2021년
84.5세 2025년
1.9천명당 명 2025년
8.8명/출산10만명 2021년
85.8십만명당 명 2019년
7.0% 2021년
1,587g 2022년
8.0ℓ 2022년
675,173명 2022년
12.4천명당 수 2018년
9.7GDP 대비% 2022년
32.0% 2022년
14.8GDP 대비 % 2022년
35,488백만 달러 2023년
632,226백만 달러 2023년
34.37% 2023년
642,572백만 달러 2023년
34.93% 2023년
1,305.93대미달러, 기간평균 2023년
5.19연리%, 기간평균 2023년
3.84연리%, 기간평균 2023년
420,148백만 달러, 기말 2023년
10,044천ha 2022년
1,528천ha 2022년
63천km² 2021년
44.8천톤 2021년
676,647.9천톤 CO2 eq. 2021년
22,695천톤 2021년
6,173.2천 TOE (석유환산톤) 2021년
팝업 주제
(단위: ) 지표 바로가기2014.01.01. ~ 2023.06.30.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자료가 없는 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 하단의 회색바 부분을 이동하여 연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1960년 | |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