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연령
- 지표정보
-
평균연령은 전체 인구의 연령을 산술평균한 값입니다.
공유
이미지
인쇄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수치
통계표(단위: 세)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2033 | 2034 | 2035 | 2036 | 2037 | 2038 | 2039 | 2040 | 2041 | 2042 | 2043 | 2044 | 2045 | 2046 | 2047 | 2048 | 2049 | 2050 | 2051 | 2052 | 2053 | 2054 | 2055 | 2056 | 2057 | 2058 | 2059 | 2060 | 2061 | 2062 | 2063 | 2064 | 2065 | 2066 | 2067 | 2068 | 2069 | 2070 | |
---|---|---|---|---|---|---|---|---|---|---|---|---|---|---|---|---|---|---|---|---|---|---|---|---|---|---|---|---|---|---|---|---|---|---|---|---|---|---|---|---|---|---|---|---|---|---|---|---|---|---|---|---|---|---|---|---|---|---|---|---|---|---|---|---|---|---|---|---|---|---|---|---|---|---|---|---|---|---|---|---|---|---|---|---|---|---|---|---|---|---|---|---|---|---|---|---|---|---|---|---|---|---|---|---|---|---|---|---|---|---|---|
평균연령(남) | 22.3 | 22.2 | 22.1 | 22.1 | 22.1 | 22.2 | 22.3 | 22.4 | 22.5 | 22.7 | 22.8 | 23.0 | 23.0 | 23.1 | 23.2 | 23.5 | 23.8 | 24.2 | 24.5 | 24.8 | 25.0 | 25.3 | 25.6 | 25.9 | 26.2 | 26.6 | 27.0 | 27.4 | 27.7 | 28.1 | 28.5 | 28.8 | 29.1 | 29.4 | 29.7 | 30.1 | 30.4 | 30.8 | 31.1 | 31.5 | 31.9 | 32.3 | 32.8 | 33.3 | 33.8 | 34.3 | 34.8 | 35.3 | 35.8 | 36.3 | 36.7 | 37.2 | 37.6 | 38.1 | 38.5 | 39.0 | 39.5 | 40.0 | 40.5 | 41.0 | 41.5 | 42.1 | 42.7 | 43.3 | 43.9 | 44.4 | 45.0 | 45.5 | 46.0 | 46.4 | 46.9 | 47.3 | 47.7 | 48.1 | 48.5 | 48.9 | 49.2 | 49.6 | 50.0 | 50.3 | 50.7 | 51.0 | 51.3 | 51.6 | 51.9 | 52.2 | 52.5 | 52.7 | 53.0 | 53.2 | 53.4 | 53.7 | 53.9 | 54.1 | 54.3 | 54.5 | 54.7 | 54.9 | 55.1 | 55.2 | 55.4 | 55.6 | 55.7 | 55.8 | 55.9 | 56.0 | 56.1 | 56.2 | 56.3 | 56.3 | 56.4 |
평균연령(여) | 23.9 | 23.7 | 23.7 | 23.7 | 23.7 | 23.8 | 23.9 | 23.9 | 24.0 | 24.1 | 24.3 | 24.6 | 24.6 | 24.8 | 25.0 | 25.4 | 25.7 | 26.0 | 26.3 | 26.6 | 26.8 | 27.1 | 27.3 | 27.7 | 28.0 | 28.4 | 28.8 | 29.2 | 29.6 | 30.0 | 30.5 | 30.9 | 31.3 | 31.6 | 32.0 | 32.3 | 32.7 | 33.1 | 33.4 | 33.8 | 34.3 | 34.7 | 35.2 | 35.6 | 36.1 | 36.6 | 37.2 | 37.7 | 38.1 | 38.6 | 39.1 | 39.6 | 40.0 | 40.5 | 40.9 | 41.4 | 41.9 | 42.4 | 42.9 | 43.4 | 43.9 | 44.5 | 45.1 | 45.7 | 46.3 | 46.8 | 47.4 | 47.9 | 48.4 | 48.8 | 49.3 | 49.7 | 50.1 | 50.5 | 50.9 | 51.3 | 51.7 | 52.0 | 52.4 | 52.8 | 53.1 | 53.5 | 53.8 | 54.1 | 54.4 | 54.7 | 55.0 | 55.3 | 55.6 | 55.8 | 56.1 | 56.3 | 56.5 | 56.7 | 56.9 | 57.1 | 57.3 | 57.5 | 57.7 | 57.8 | 58.0 | 58.1 | 58.2 | 58.3 | 58.4 | 58.5 | 58.5 | 58.6 | 58.6 | 58.6 | 58.6 |
연관지표
연령대별 인구구조 (2023)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연령대별 인구구조는 총인구를 10세별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연령계층별 인구구조는 연령계층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 유소년 인구: 14세 이하 - 생산연령인구: 15~64세 - 고령인구: 65세 이상*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인구 (65세 이상)
단위 :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고령인구는 65세 이상 인구입니다. (추계인구 기준)*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학령인구 (6-21세)
단위 : 천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학령인구는 6~21세 사이의 인구입니다. 학령인구는 초등학교(6~12세), 중학교(13~15세), 고등학교(16~18세), 대학교(19~21세)로 나누어집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청소년인구 (9-24세)
단위 : 천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청소년인구는 9~24세 사이의 인구입니다. * 청소년기본법제3조제1항*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청년인구 (19-34세)
단위 : 천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청년인구는 19~34세 사이의 인구입니다. * 청년기본법제3조제1항*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초혼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수치
초혼연령은 각 연도를 기준으로 발생한 초혼 당사자들 연령의 평균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이혼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수치
이혼연령은 각 연도를 기준으로 발생한 이혼 당사자들 연령의 평균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중위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해당 연령을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평균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평균연령은 전체 인구의 연령을 산술평균한 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기대수명
단위 : 년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기대수명이란 특정 연도의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총부양비 (유소년+노년 부양비)
단위 :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총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에 대한 유소년인구(14세 이하)와 고령인구(65세 이상)의 합의 백분비로, 인구의 연령구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유소년부양비와 노인부양비
단위 :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유소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유소년(14세 이하)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노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노령화지수
단위 :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14세 이하)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율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인구 비중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초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초고령인구(80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가구
단위 : 가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수치
고령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독거노인가구
단위 : 가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수치
독거노인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1인가구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
단위 : 명 통계 출처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수치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이란 노인복지법 제31조(시설의 종류)에 의해 시·군·구청에 노인복지시설로 설치·신고된 시설의 입소 가능 정원을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소멸위험지수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수치가 낮을 수록 소멸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해당 지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지역 간 산업 구조에 따른 양극화, 지방소멸과 이에 따른 지역의 대안적 일자리 전략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 지표로서, 상세한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자료: 이상호・김필(2022.3.), 지방소멸위험지수 원시자료, 한국고용정보원*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