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 지표정보
-
기대수명이란 특정 연도의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말합니다.
공유
이미지
인쇄
단위 : 년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수치
통계표(단위: 년)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2033 | 2034 | 2035 | 2036 | 2037 | 2038 | 2039 | 2040 | 2041 | 2042 | 2043 | 2044 | 2045 | 2046 | 2047 | 2048 | 2049 | 2050 | 2051 | 2052 | 2053 | 2054 | 2055 | 2056 | 2057 | 2058 | 2059 | 2060 | 2061 | 2062 | 2063 | 2064 | 2065 | 2066 | 2067 | 2068 | 2069 | 2070 | 2071 | 2072 | |
---|---|---|---|---|---|---|---|---|---|---|---|---|---|---|---|---|---|---|---|---|---|---|---|---|---|---|---|---|---|---|---|---|---|---|---|---|---|---|---|---|---|---|---|---|---|---|---|---|---|---|---|---|---|---|---|---|---|---|---|---|---|---|---|---|---|---|---|---|---|---|---|---|---|---|---|---|---|---|---|---|---|---|---|---|---|---|---|---|---|---|---|---|---|---|---|---|---|---|---|---|---|---|---|
기대수명 | 62.3 | 62.7 | 63.1 | 63.5 | 63.9 | 64.2 | 64.6 | 65.0 | 65.3 | 65.6 | 66.1 | 66.7 | 67.2 | 67.7 | 68.3 | 68.9 | 69.5 | 70.1 | 70.7 | 71.2 | 71.7 | 72.2 | 72.6 | 73.1 | 73.5 | 73.8 | 74.2 | 74.7 | 75.1 | 75.5 | 76.0 | 76.5 | 76.8 | 77.3 | 77.8 | 78.2 | 78.8 | 79.2 | 79.6 | 80.0 | 80.2 | 80.6 | 80.9 | 81.4 | 81.8 | 82.1 | 82.4 | 82.7 | 82.7 | 83.3 | 83.5 | 83.6 | 82.7 | 83.5 | 84.3 | 84.5 | 84.7 | 84.9 | 85.1 | 85.3 | 85.5 | 85.6 | 85.8 | 86.0 | 86.2 | 86.3 | 86.5 | 86.7 | 86.8 | 87.0 | 87.2 | 87.3 | 87.5 | 87.6 | 87.8 | 87.9 | 88.1 | 88.2 | 88.3 | 88.5 | 88.6 | 88.7 | 88.9 | 89.0 | 89.1 | 89.2 | 89.4 | 89.5 | 89.6 | 89.7 | 89.8 | 89.9 | 90.0 | 90.2 | 90.3 | 90.4 | 90.5 | 90.6 | 90.7 | 90.8 | 90.9 | 91.0 | 91.1 |
기대수명(남) | 58.7 | 59.1 | 59.4 | 59.7 | 60.0 | 60.3 | 60.6 | 60.9 | 61.1 | 61.4 | 61.9 | 62.4 | 62.9 | 63.4 | 64.0 | 64.6 | 65.3 | 65.9 | 66.5 | 67.0 | 67.5 | 67.9 | 68.4 | 68.9 | 69.3 | 69.7 | 70.2 | 70.7 | 71.2 | 71.8 | 72.3 | 72.9 | 73.4 | 73.8 | 74.3 | 74.9 | 75.4 | 75.9 | 76.2 | 76.7 | 76.8 | 77.3 | 77.6 | 78.1 | 78.6 | 79.0 | 79.3 | 79.7 | 79.7 | 80.3 | 80.5 | 80.6 | 79.9 | 80.6 | 81.4 | 81.6 | 81.9 | 82.1 | 82.4 | 82.6 | 82.8 | 83.0 | 83.2 | 83.4 | 83.6 | 83.8 | 84.0 | 84.2 | 84.4 | 84.6 | 84.8 | 85.0 | 85.2 | 85.4 | 85.6 | 85.7 | 85.9 | 86.1 | 86.2 | 86.4 | 86.5 | 86.7 | 86.8 | 87.0 | 87.2 | 87.3 | 87.4 | 87.6 | 87.7 | 87.8 | 88.0 | 88.1 | 88.2 | 88.4 | 88.5 | 88.6 | 88.7 | 88.9 | 89.0 | 89.1 | 89.2 | 89.3 | 89.5 |
기대수명(여) | 65.8 | 66.3 | 66.8 | 67.3 | 67.8 | 68.2 | 68.6 | 69.1 | 69.5 | 69.9 | 70.4 | 70.9 | 71.5 | 71.9 | 72.6 | 73.2 | 73.8 | 74.3 | 74.8 | 75.3 | 75.9 | 76.4 | 76.8 | 77.3 | 77.7 | 77.9 | 78.3 | 78.7 | 79.0 | 79.2 | 79.7 | 80.1 | 80.3 | 80.8 | 81.2 | 81.6 | 82.1 | 82.5 | 83.0 | 83.4 | 83.6 | 84.0 | 84.2 | 84.6 | 85.0 | 85.2 | 85.4 | 85.7 | 85.7 | 86.3 | 86.5 | 86.6 | 85.6 | 86.4 | 87.1 | 87.3 | 87.5 | 87.6 | 87.8 | 88.0 | 88.1 | 88.3 | 88.4 | 88.6 | 88.7 | 88.8 | 88.9 | 89.1 | 89.2 | 89.4 | 89.5 | 89.6 | 89.8 | 89.9 | 90.0 | 90.1 | 90.2 | 90.3 | 90.4 | 90.6 | 90.7 | 90.8 | 90.9 | 91.0 | 91.1 | 91.2 | 91.3 | 91.4 | 91.5 | 91.6 | 91.7 | 91.8 | 91.8 | 91.9 | 92.0 | 92.1 | 92.2 | 92.3 | 92.4 | 92.5 | 92.5 | 92.6 | 92.7 |
연관지표
연령대별 인구구조 (2025)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연령대별 인구구조는 총인구를 10세별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연령계층별 인구구조는 연령계층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 유소년 인구: 14세 이하 - 생산연령인구: 15~64세 - 고령인구: 65세 이상*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인구 (65세 이상)
단위 :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고령인구는 65세 이상 인구입니다. (추계인구 기준)*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초혼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수치
초혼연령은 각 연도를 기준으로 발생한 초혼 당사자들 연령의 평균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이혼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수치
이혼연령은 각 연도를 기준으로 발생한 이혼 당사자들 연령의 평균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중위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해당 연령을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평균연령
단위 : 세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평균연령은 전체 인구의 연령을 산술평균한 값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기대수명
단위 : 년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기대수명이란 특정 연도의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총부양비 (유소년+노년 부양비)
단위 :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유소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유소년(14세 이하)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노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유소년부양비와 노인부양비
단위 :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명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유소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유소년(14세 이하)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노년부양비란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인구의 비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노령화지수
단위 :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14세 이하)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율입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인구 비중
단위 : %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수치
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초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초고령인구(80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고령가구
단위 : 가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수치
고령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독거노인가구
단위 : 가구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수치
독거노인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1인가구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
단위 : 명 통계 출처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수치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이란 노인복지법 제31조(시설의 종류)에 의해 시·군·구청에 노인복지시설로 설치·신고된 시설의 입소 가능 정원을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