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별 등록 외국인
- 지표정보
-
등록외국인은 외국인이 입국한 날부터 90일을 초과하여 대한민국에 체류하기 위해 체류지를 관할하는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에게 외국인등록을 한 외국인입니다.
공유
이미지
인쇄
단위 : 명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 수치
통계표(단위: 명)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 한국계 중국인 | 341,863 | 318,768 | 345,318 | 332,525 | 286,933 | 253,533 | 237,869 | 242,032 | 246,988 |
| 중국 | 207,259 | 208,343 | 207,777 | 208,081 | 178,910 | 170,852 | 181,571 | 205,502 | 218,893 |
| 베트남 | 137,769 | 151,385 | 170,707 | 187,334 | 181,415 | 178,928 | 196,883 | 227,930 | 261,581 |
| 우즈베키스탄 | 42,106 | 47,722 | 52,585 | 56,237 | 48,371 | 44,470 | 49,149 | 55,239 | 61,733 |
| 필리핀 | 46,069 | 45,236 | 45,305 | 45,354 | 40,687 | 38,035 | 43,020 | 48,648 | 51,991 |
| 캄보디아 | 44,538 | 45,713 | 45,247 | 45,016 | 40,222 | 40,263 | 45,231 | 53,904 | 61,006 |
| 네팔 | 33,060 | 35,426 | 38,862 | 40,933 | 38,527 | 35,447 | 44,755 | 60,663 | 72,151 |
| 인도네시아 | 39,130 | 36,917 | 37,429 | 37,043 | 33,239 | 30,514 | 40,291 | 50,334 | 58,248 |
| 태국 | 29,292 | 30,196 | 31,416 | 32,633 | 30,801 | 31,347 | 33,775 | 40,062 | 43,459 |
| 미얀마 | 21,275 | 23,472 | 26,655 | 27,483 | 24,985 | 24,283 | 30,805 | 39,630 | 52,034 |
| 미국 | 23,930 | 24,166 | 24,602 | 26,025 | 25,910 | 28,761 | 31,000 | 32,532 | 34,886 |
| 몽골 | 20,116 | 22,570 | 24,218 | 24,845 | 24,515 | 23,722 | 27,884 | 32,466 | 37,664 |
| 일본 | 23,267 | 23,343 | 23,892 | 24,316 | 22,798 | 24,479 | 26,656 | 27,381 | 28,005 |
| 스리랑카 | 26,036 | 25,323 | 24,309 | 23,476 | 21,231 | 18,915 | 22,282 | 28,258 | 33,965 |
| 타이완(대만) | 20,413 | 20,363 | 20,489 | 19,872 | 18,357 | 17,651 | 17,683 | 17,704 | 17,384 |
| 카자흐스탄 | 5,717 | 9,508 | 14,111 | 17,499 | 14,377 | 14,425 | 17,239 | 20,203 | 20,482 |
연관지표
국제순이동
단위 : 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수치
국제이동은 상주지 국가를 떠나 체류기간 90일을 초과하여 이동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순이동은 입국에서 출국을 뺀 값입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외국인 국제순이동
단위 : 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수치
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제2조 제2항에 의거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국제순이동은 입국자와 출국자의 차이로, 입국은 외국에서 대한민국으로 이동해 체류기간 90일이 초과한 경우를, 출국은 대한민국에서 외국으로 이동해 체류기간 90일이 초과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내국인 국제순이동
단위 : 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수치
내국인은 「출입국관리법」제2조 제1항에 의거 대한민국의 국민을 의미합니다. 국제순이동은 입국자와 출국자의 차이로, 입국은 외국에서 대한민국으로 이동해 체류기간 90일이 초과한 경우를, 출국은 대한민국에서 외국으로 이동해 체류기간 90일이 초과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순이동은 입국에서 출국을 뺀 값입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국제인구이동통계
다문화가구
단위 : 가구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수치
다문화 가구는 귀화의 방법으로 국적을 취득한 자 또는 외국인이 한국인(귀화자 포함) 배우자와 결혼한 결혼이민자 가구입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다문화 인구
단위 : 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수치
다문화 인구는 다문화 가구에 속한 구성원입니다. 다문화 가구는 귀화의 방법으로 국적을 취득한 자 또는 외국인이 한국인(귀화자 포함) 배우자와 결혼한 결혼이민자 가구입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외국인인구
단위 : 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수치
외국인은 국내에 거주 중인 단기체류외국인, 등록외국인, 외국국적동포거소신고자를 포함하며,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3개월 이상 거주한 자를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
외국인등록인구
단위 : 명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수치
등록외국인은 외국인이 입국한 날부터 90일을 초과하여 대한민국에 체류하기 위해 체류지를 관할하는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에게 외국인등록을 한 외국인입니다.*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국적별 등록 외국인 (2024)
단위 : 명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수치
등록외국인은 외국인이 입국한 날부터 90일을 초과하여 대한민국에 체류하기 위해 체류지를 관할하는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에게 외국인등록을 한 외국인입니다.*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외국인 취업자
단위 : 천명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법무부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수치
외국인 취업자는 외국인이 입국한 날부터 90일을 초과하여 대한민국에 체류하기 위해 체류지를 관할하는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에게 외국인등록을 한 외국인 중 취업자를 의미합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법무부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국제결혼건수
단위 : 건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동향조사- 수치
국제결혼은 외국인과의 혼인을 의미하며, 혼인은 남편(부)과 아내(처)로 구성된 법적관계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국가데이터처 인구동향조사
결혼이민자수
단위 : 명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 수치
결혼이민자는 국민과의 혼인관계를 바탕으로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으로서 F-2-1(국민의배우자 구 체류자격), F-5-2(결혼이민 영주자격), F-6-1(국민의 배우자) F-6-2(자녀양육), F-6-3(혼인단절) 체류 자격 소지자를 말합니다.* 통계 출처 : 법무부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