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피라미드
공유
이미지
인구피라미드
- 중위연령
우리나라 총인구
40세 1972년생
- 중위가정
- 남 52% 459,989명 여 52% 459,989명 성비(여성1백명당) 102.3명 중위연령43세
- 선택가정
- 남 52% 459,989명 여 52% 459,989명 성비(여성1백명당) 102.3명 변동요인을 설정하여 미래를 예측해보세요.
범례
- 중위가정(남)
- 중위가정(여)
- 선택가정(남)
- 선택가정(여)
인구변동요인 설정
인구 변동 요인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며, 각 요인에 대한 가정(고위,중위,저위)에 따라 31개의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공식적인 추계인구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이 모두 중위가정인 경우입니다.
인구변동요인을 직접 설정하여 미래인구를 예측하여 보세요.
* 1999년 이전 자료는 80세 이상으로, 2000년 이후 자료는 100세 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구추계란?
통계청에서 5년마다 발표하는 장래인구추계는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인구동태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기초로 코호트요인법에 의해 2070년까지 50년간의 인구규모와 성ㆍ연령별 구조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장래인구추계 결과는 연금, 재정 등 정부정책 뿐만 아니라 노동, 교육, 산업, 환경, 주택 등 다양한 경제ㆍ사회 발전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추계에서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고 인구변동요인의 변화 효과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인별 중위가정을 조합한 기본 시나리오(인구성장 중위가정)를 비롯하여 31개의 시나리오(3×3×3+4)를 제공하였습니다.(시도는 4개 시나리오 제공)
출산, 사망, 국제이동의 중위가정을 조합하여 추계의 기본 시나리오인 인구성장 중위가정을 설정하였습니다.
- 합계출산율은 2020년 0.84명에서 2024년 0.70명까지 감소, 2046년 1.21명까지 증가 후 지속
- 기대수명은 2020년 남자 80.5세, 여자 86.5세에서 2070년 각각 89.5세, 92.8세 도달
- 국제순이동은 2020년 인구 천명당 -1.1명에서 2070년 1.1명 수준

인구성장 시나리오 | 2020년 | 2070년 | |||
---|---|---|---|---|---|
고위 | 중위 | 저위 | |||
함계출산율(명) | 0.84 | 1.40 | 1.21 | 1.02 | |
기대수명(세) | 남자 | 80.5 | 90.5 | 89.5 | 88.3 |
여자 | 86.5 | 94.1 | 92.8 | 91.3 | |
국제순이동률(인구천명당) | -1.1 | 2.2 | 1.1 | -0.4 |
- 출생
-
- 중위가정합계출산율이 0.84명(2020년)에서 0.70명(2024년)으로 감소, 1.21명(2046년)까지 증가 후 지속
- 고위가정합계출산율이 0.84명(2020년)에서 0.83명(2021년)으로 감소, 1.40명(2045년)까지 증가 후 지속
- 저위가정합계출산율이 0.84명(2020년)에서 0.61명(2025년)으로 감소, 1.02명(2049년)까지 증가 후 지속
- 현수준2020년 합계출산율(0.84명)이 2070년까지 지속
- OECD 평균합계출산율이 0.84명(2020년)에서 OECD 국가 평균인 1.61명(2053년)까지 증가 후 지속
- 코로나19
장기영향합계출산율이0.84명(2020년)에서 0.52명(2025년)까지 감소, 0.98명(2070년)으로 증가
합계출산율 1.21명
- 사망
-
- 중위가정기대수명이 2020년 남자 80.5세, 여자 86.5세에서 2070년 각각 89.5세, 92.8세까지 증가
- 고위가정기대수명이 2020년 남자 80.5세, 여자 86.5세에서 2070년 각각 90.5세, 94.1세까지 증가
- 저위가정기대수명이 2020년 남자 80.5세, 여자 86.5세에서 2070년 각각88.3세, 91.3세까지 증가
기대수명 남 89.5세 여 92.8세
- 국제이동
-
- 중위가정인구 천명당 국제순이동이 -1.1명(2020년)에서 -1.2명(2021년)까지 감소 후 1.1명(2070년)으로 증가
- 고위가정인구 천명당 국제순이동이 -1.1명(2020년)에서 2.2명(2070년)으로 증가
- 저위가정인구 천명당 국제순이동이 -1.1명(2020년)에서 -1.8명(2021년)까지 감소 후 -0.4명(2070년)까지 증가
- 무이동국제이동은 없는 것으로 가정
- 코로나19
장기영향인구 천명당 국제순이동이 -1.1명(2020년)에서 -2.7명(2021년)까지 감소 후 0.7명(2070년)까지 증가
천명당 이동자수 0.9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