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 5년마다 발표하는 장래인구추계는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인구동태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기초로 코호트요인법에 의해 2067년까지 50년간의 인구규모와 성ㆍ연령별 구조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장래인구추계 결과는 연금, 재정 등 정부정책 뿐만 아니라 노동, 교육, 산업, 환경, 주택 등 다양한 경제ㆍ사회 발전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추계에서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고 인구변동요인의 변화 효과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인별 중위가정을 조합한 기본 시나리오(인구성장 중위가정)를 비롯하여 30개의 시나리오(3×3×3+3)를 제공하였습니다.
출산, 사망, 국제이동의 중위가정을 조합하여 추계의 기본 시나리오인 인구성장 중위가정을 설정하였습니다.
- 합계출산율은 2017년 1.05명에서 2021년 0.86명까지 감소, 2040년 1.27명까지 증가 후 지속
- 기대수명은 2017년 남자 79.7세, 여자 85.7세에서 2067년 각각 88.5세, 91.7세 도달
- 국제순이동은 2017년 인구 천명당 3.7명에서 2067년 0.9명 수준
인구성장 시나리오
인구성장 시나리오 |
2017년 |
2067년 |
고위 |
중위 |
저위 |
함계출산율(명) |
1.24 |
1.64 |
1.38 |
1.12 |
기대수명(세) |
남자 |
79.0 |
89.2 |
88.4 |
87.2 |
여자 |
85.2 |
92.6 |
91.6 |
90.5 |
국제순이동률(인구천명당) |
1.6 |
1.4 |
0.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