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 5년마다 발표하는 장래인구추계는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인구동태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기초로 코호트요인법에 의해 2070년까지 50년간의 인구규모와 성ㆍ연령별 구조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장래인구추계 결과는 연금, 재정 등 정부정책 뿐만 아니라 노동, 교육, 산업, 환경, 주택 등 다양한 경제ㆍ사회 발전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추계에서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고 인구변동요인의 변화 효과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인별 중위가정을 조합한 기본 시나리오(인구성장 중위가정)를 비롯하여 31개의 시나리오(3×3×3+4)를 제공하였습니다.
출산, 사망, 국제이동의 중위가정을 조합하여 추계의 기본 시나리오인 인구성장 중위가정을 설정하였습니다.
- 합계출산율은 2020년 0.84명에서 2024년 0.70명까지 감소, 2046년 1.21명까지 증가 후 지속
- 기대수명은 2020년 남자 80.5세, 여자 86.5세에서 2070년 각각 89.5세, 92.8세 도달
- 국제순이동은 2020년 인구 천명당 -1.1명에서 2070년 1.1명 수준
인구성장 시나리오
인구성장 시나리오 |
2020년 |
2070년 |
고위 |
중위 |
저위 |
함계출산율(명) |
0.84 |
1.40 |
1.21 |
1.02 |
기대수명(세) |
남자 |
80.5 |
90.5 |
89.5 |
88.3 |
여자 |
86.5 |
94.1 |
92.8 |
91.3 |
국제순이동률(인구천명당) |
-1.1 |
2.2 |
1.1 |
-0.4 |